"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관악산 소재지 및 높이
-서울특별시 관악구ㆍ금천구, 경기도 안양시ㆍ과천시
-산높이 : 632.2m
100대 명산 선정이유
예로부터경기 5악의 하나로서 경관이 수려하며, 도심지 가까이 위치한 도시자연공원(1968년 지정)으로 수도권 주민들의 휴식처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주봉은 연주대(戀主臺)로서 정상에 기상 레이더 시설이 있음. 신라시대 의상이 창건하고 조선 태조가 중수(1392년)한 연주암과 약사여래입상이 유명합니다.
관악산 상세정보
관악산은 서울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과천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어 북한산,도봉산과 더불어 누구나 쉽게 찾는 친근한 산이다. 멀리서 보면 온통 바위로 뒤덮여 있는 산세를 가진 관악산은 해발은 낮으나 등산로 곳곳에 위험한 암릉이 있어 조심해야 한다. 관악산은 예로부터 불의 산(火山)이라 하여 조선 태조가 궁터를 지금의 경복궁 자리로 옮길 때, 무학대사가 이곳은 관악산과 마주 보이는 자리로 관악산의 화기가 궁을 눌러서 내우외환이 끊이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정도전의 남쪽에 한강이 가로질러 있어서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을 받아 들여 지금의 경복궁을 창건하였다 한다.
그후 태종때 왕자의 난, 세조의 왕위 찬탈, 임진왜란, 병자호란, 그리고 경복궁에 발생한 수차례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풍수지리설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대원군은 경복궁을 재건할 때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기 위해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앞에 바다의 신으로 상상의 동물인 해태 조각상을 만들어 세웠다.
관악산 연주대는 고려가 망하자 남은 유신 열 사람이 관악산 절에 숨어살며 경복궁을 바라보며 통곡을 했다 하여, 임금을 사모한다는 뜻으로 연주대(戀主臺)라 불려 지게 되었다 한다. 이성계가 연주암을 중창한 뒤, 태종의 두 아들인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은 태종이 왕위를 셋째 충녕대군(세종)에게 물려줄 뜻을 알고 관악산에 입산하였다 한다. 예전에 관악산을 삼성산이라 부른 것은 신라의 고승 원효,의상,윤필이 이 산에서 세 승려가 일막,이막,삼막의 세 암자를 짓고 따로 수도하여 득도하였다 하여 붙여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임진왜란때 일막,이막은 소실되고 삼막사(三幕寺)만 남았다는 것이다.
관악산 등산코스
인구 밀집지역 가운데에 위치한 산이라 주말에는 등산객이 매우 많기 때문에 공식 등산로 이외에도 여러 등산로들이 개척되어 있다. 크게 서울시, 과천시, 안양시 방면에서 올라오는 등산로가 있다. 여기에서는 대중적인 대표 등산코스만 소개합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앞 광장 출발 코스(추천코스-대중적인 초급자용)
관악산의 정문이라 할 수 있는 관악산역 입구에서 시작하는 코스이다. 가장 대표적인 코스이며, 편의 시설(상점, 식당, 화장실 등)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다. 처음에 포장도로를 따라 호수공원 근처까지 간다음 본격적인 등산로가 시작된다. 여기서 관악산의 정상인 연주대 방향과 삼성산(삼막사) 방향으로 나뉜다. 관악산 정상인 연주대 방향은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가 마지막에 급경사 계단길을 올라가면 제3깔딱고개가 나온다.
제3깔딱고개에 도착했을 때, 직진하면 연주암(절)이고, 완전 왼쪽은 암릉(말바위)-연주대 코스, 왼쪽과 직진(연주암) 사잇길이 헬기장-연주대 코스이다. 정상인 연주대까지 험한 암릉을 타고가는 방법과 헬기장 쪽으로 우회하는 방법이 있는데, 암릉길이 매우 위험하므로 초보자나 어린이, 노약자 등이 연주대에 간다면 반드시 헬기장쪽으로 우회해서 가야한다.
이 코스로 정상까지 가면, 과천시 땅에 있는 연주암(절)을 거치지 않게 된다. 갑자기 화장실을 가고 싶은 상황이 생기거나 생수 구매 등의 목적으로 매점을 이용하려면, 시간이 얼마 안 걸리니 연주암으로 가면 된다.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코스(서울대 공대, 단거리 코스, 초급자용)
정상인 연주대로 가는 가장 짧고 쉬운 코스이다. 위에 설명한 관악산역에서 출발한 길과 만나는 지점부터, 정상까지 완전히 같은 길이다. 서울대 캠퍼스 내부로 들어와서, 그 코스의 중턱에서 시작하는 길이다.
경전철 관악산역 광장 코스에 비해 거리가 최소 2.5km 이상 줄어들고, 해발고도 200m 이상인 곳에서 시작한다. 높이로 보면 1/3이나 편하게 올라온 채로 시작하는 셈. 신림역 3번 출구에서 5516번 버스를 이용하거나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5511번, 5513번, 혹은 낙성대역 4번 출구에서 관악02번 버스를 타고 서울대 내 건설환경종합연구소까지 들어올 수 있다.
2011년까지는 서울대학교 신공학관(301동) 바로 옆에 등산로가 나 있었는데 등산객들이 등산 전후 신공학관에 드나들어 연구 및 학습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신공학관 쪽의 등산로를 폐쇄하고 대신 건설환경종합연구소쪽에 등산로를 내었다.
단점으로는 서울대 캠퍼스 안에서도 인적이 드물고 외진 곳이라, 편의 시설(편의점, 화장실[18], 식당 등)이 없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고 와야 한다는 것이다. 내리는 지하철역 화장실을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올 때와 갈 때 버스 노선이 좀 다른데, 올 때는 위에서 언급한 버스 아무거나 타도 되지만, 갈 때는 내렸던 정류소(건설환경종합연구소)에서 5511(중앙대 방향)과 관악02만 탑승 가능하다. 5513은 여기가 종점이고, 5516은 신림역까지 안 가고 신림동에서 끝난다. 5511은 중앙대 방향과 신림동(종점) 방향이 둘 다 서니 행선지를 잘 보고 타야 한다. 지하철역으로 가려면 중앙대 방면 버스를 타야 한다.
계곡길에 합류하기 전에 보이는 정면의 암릉은 자운암 능선이라는 길인데 경치는 끝내주지만 등산 초보가 오르기에는 좀 어려울 수도 있다. 간혹 처음 오는 사람들이 방향을 헷갈리는데, 연주대 방향 계곡길은 '연주대'라고 표지판이 있으니 이 길로 가면 된다. 갈림길에서 오른쪽이다.
▶사당역 코스
사당역에서 관악 주능선(사당능선)을 따라 오르는 코스이다. 가장 긴 코스이며, 사당역에서 첫 번째 국기봉(관음사 국기봉)까지 가파른 경사가 많아 힘들지만 그 이후에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번갈아 나타난다. 연주대에 오르는 마지막에는 밧줄을 잡고 올라가야 하였기에 초보자에게는 다소 위험하였으나, 이제는 계단을 설치해서 옛말이 되었다(지나가는 길에 이전 코스였던 바위에 달린 쇠사슬들을 볼 수 있다). 시작부터 탁 트인 서울의 전망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코스의 장점이다. 날씨가 좋다면 북한산과 도봉산을 깨끗하게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사당역이 서울의 교통 중심지 중 하나라서 그런지 수도권 각지에서 모이는 산악회 모임을 많이 볼 수 있는 코스다.
▶과천 1코스(추천코스, 대중적인 초급자용)
과천향교에서 출발하여 연주암으로 가는 코스이다. 계곡을 따라 올라가고, 숲에 가려 바깥의 넓은 풍경을 보기 어렵다. 후반부의 경사가 급한 편이지만 다른 등산로에 비해 거리가 짧아 난이도는 쉬운 편이다. 초보자라면 위의 서울대 공대 코스와 함께 추천하는 코스
▶과천 2코스
정부과천청사 뒤에 위치한 중소기업청 정문 옆의 샛길에서 출발하는 코스이다. 문원하폭포에서 마당바위 방면으로 올라가면 연주암으로 바로 이어지고, 문원폭포 방면으로 가면 국기봉과 KBS중계소를 거쳐서 연주암으로 이어진다. 문원하폭포 까지는 곳곳에 나무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라 경사가 완만하고, 경치가 좋다. 평일에는 다른 등산로에 비해 등산객이 적어 여유롭게 올라갈 수 있다. 다만, 시설물이 부족해 낙엽과 눈이 쌓이는 가을 겨울에는 등산로가 잘 보이지 않아 길을 잃을 위험이 있다. 또한 문원하폭포에서 문원폭포 방면으로 이정표가 없어서 길을 찾기 어렵다.
초급자용 코스는 악산이라는 느낌이 안 들 정도로 평범하지만 사당, 팔봉, 육봉능선은 악산 이름값을 충실히 한다. 그러므로 처음 이 산에 방문한다면 관악산옆 광장출발 코스, 신공학관-깔딱고개 코스 등 초급자용으로 올라야 좋고, 길이 위험하다 싶으면 돌아가는 것을 추천한다. 정부과천청사역에서 과천향교를 거쳐 연주암으로 올라가는 코스도 다른 코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한 구간이 적고, 계단, 난간 등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초급자용으로 추천한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연주암 역사와 유래
관악산의 최고봉인 연주봉(629m) 절벽에 연주대(경기도 기념물 제20호)가 있고, 연주대에서 남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연주암이 있다. 연주암은 본래 관악사로 신라 677년(문무왕 17) 의상대사가 현재의 절터 너머 골짜기에 창건했으며, 1396년(태조 4)에 이성계가 신축했다. 그러나 1411년(태종 11)에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이 충녕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는 태종의 뜻을 알고 유랑하다가 이곳 연주암에 머물게 되었는데, 암자에서 내려다 보니 왕궁이 바로 보여 옛 추억과 왕좌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 괴로워 한 나머지 왕궁이 안 보이는 현재의 위치로 절을 옮겼다. 연주암이란 이름은 이들 왕자의 마음을 생각해서 세인들이 부르게 된 것이라 한다.
▶연주대
'연주대'는 관악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크고 작은 바위가 우뚝 솟아 절벽을 이룬 봉우리에 축대를 쌓아 평평한 집터를 만든 곳이다. 이름의 한자를 보면 '연(戀)'은 그리워 한다는 뜻이고 '주(主)'는 주군(主君) 즉 임금을 뜻하여, '임금을 그리워하는 곳'으로 풀이된다. 연주대는 신라의 의상대사가 677년에 지은 작은 암자로 원래 '의상대'라 불렀다고 전한다. 지금의 연주대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에 붙인 것이다. 이름과 관련된 전설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조선이 세워지고 수도가 개성에서 한양(지금의 서울)로 옮겨지면서 고려를 그리워한 사람들이 여기에 올라 옛 왕조와 충신들을 그리워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다른 전설로는 조선이 세워지고 한양이 수도로 정해질 때, 무학 대사(無學大師)의 권유로 태조 이성계가 직접 관악산 연주대에 올라 경치를 둘러보고 조선과 한양의 복을 빌기 위해 원각(圓覺) ㆍ연주(戀主) 두 절을 지었고 이때부터 '연주대'라 불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연주대와 관련된 설화 중에는 세종의 형인 양녕 대군과 효령 대군의 이야기도 있다. 태종이 셋째 왕자 충녕 대군(훗날 세종)을 세자로 정하려 하자 두 형은 궁을 나와 여러 곳을 유람하였는데, 양녕 대군이 이곳에 올라 경치를 바라보며 시를 지었고, 효령 대군은 스님이 되어 이곳에서 오랫동안 머물렀다는 이야기다.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관악산 연주암, 비운의 왕세자 효령대군의 사찰(2)
'힐링 등산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명산 사찰, 남해 금산과 보리암 (0) | 2023.06.25 |
---|---|
100대 명산 사찰, 설악산(대청봉 최단코스)과 백담사(봉정암) (0) | 2023.06.24 |
100대 명산 사찰, 오대산(비로봉)과 상원사 (0) | 2023.06.24 |
100대 명산 사찰, 지리산(노고단)과 화엄사 (0) | 2023.06.24 |
100대 명산 사찰, 용문산과 용문사 (0) | 2023.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