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두륜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ㆍ북일면ㆍ북평면ㆍ현산면
-산높이 : 700m
100대 명산 선정이유
한반도의 최남단 해남반도에 솟아 있는 산으로서 왕벚나무의 자생지가 있으며, 다도해를 조망하기에 적합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 봄의 춘백,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 겨울의 동백 등으로 유명하며 유자(柚子), 차(茶)의 산지로 알려져 있음. 보물 제320호인 삼층석탑을 비롯하여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대흥사(大興寺)가 있다.
두륜산 상세정보
가장 남쪽의 '산이라 할 만한 것'이다. 육산 덩어리여서 듬직하기는 하나 잘났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산 보는 데 일가견이 있던 서산대사가 자신의 의발(衣鉢)―옷가지와 밥그릇을 여기 갖다노라 한 것을 보면 뭔가 있기는 한 듯하다. 그냥 들어가서는 발견할 수가 없다. 봄 긴 골짜기 장춘(長春)계곡을 걸어가봐야 한다. 다음, 정상이 아니라 반대편으로 올라가봐야 한다. 향로봉(469m). 그리고, 가부좌를 틀고 앉아 산의 형세를 살펴봐야 한다.
좌청룡은 도솔봉(673.2m)에서 내려오고 있다. 우백호는 고계봉(638m) 줄기다. 입수(入首)는 두륜봉(629.3m)에서 비롯했는 바 모두 대흥사 앞 계곡에서 머리를 맞대고있다. 그 입수가 솟구쳤다 내려앉은 가랑이 사이의 명당에는 서산대사의 사당 표충사(表忠祠)가 있다. 대사의 의발은 오대산 상원사 같은 위치에 모셔졌고 두륜산은 그만한 지덕(地德)이 있었던 것이다.
고계봉, 상봉 가련봉, 두륜봉, 국립지리원 지도에 대둔산으로 표기된 도솔봉(673.5m), 연화봉(613m), 혈망봉(379m), 향로봉의 7봉이 명찰 대흥사를 둘러싸고 있는 또아리 지형이다. 400미터 등고선을 이어보면 거대한 바닷가재가 여의주를 머금고있는 형세다. 이런 기이함 있었기에 두륜산은 대흥사를 키울 수 있었고 그 덕에 명산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두륜산(700m)은 백두대간에서 뻗은 호남정맥이 바다에 이르면서 마지막으로 솟아 오른 산이다. 전남 해남군 삼산면과 현산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일명 대둔산(大芚山)이라고도 불린다. 임진왜란 당시 전국의 산야를 누비며 왜적을 몰아낸 서산대사는 이곳 두륜산을 '만고에 깨지지 않고 삼재가 미치지 않는 산' 이라 했다. 삼재가 들지 않는다는 것은 홍수나 재해에서 안전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두륜산은 북으로는 월출산이 하늘을 받쳐주고 남으로는 달마산이 지축을 맺어 주고 있어 옛 조상들로부터 풍수지리적으로 인정받은 산이다. 상상의 산이며 산의 조종으로 알려진 곤륜산과 백두산에서 연유했다는 뜻에서 두 산의 한자씩을 따 두륜산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두륜산 등산코스
일반적으로 등산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봉우리는 가련봉, 노승봉, 두륜봉이고 이 세 암봉을 잇는 1번 코스가 가장 인기있는산행코스이다.
▶1코스(대흥사 방면, 5.85km)
대웅전-북미륵암-오심재-노승봉-가련봉(정상)-만일재-두륜봉-진불암-표충사
총소요시간 : 4시간 30분(일반인) / 3시간 30분(산악인)
▶2코스(대흥사 방면, 5.85km)
대웅전-일지암-북미륵암-천년수-가련봉(정상)-만일재-두륜봉-진불암-표충사
총소요시간 : 3시간 30분(일반인) / 2시간 50분(산악인)
▶3코스(대흥사 방면, 4.35km)
표충사-진불암-천년수-만일재-천년수-북미륵암-대웅전
총소요시간 : 3시간 30분(일반인) / 2시간 50분(산악인)
▶4코스(대흥사 방면, 3.95km)
대흥사-북암-천년수-진불암-대흥사
총소요시간 : 2시간(일반인) / 1시간 40분(산악인)
▶5코스(오소재약소터 방면, 5.4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노승봉-가련봉(정상)-만일재-두륜봉-진불암-대흥사
총소요시간 : 4시간 10분(일반인) / 3시간 30분(산악인)
▶6코스(오소재약수터 방면, 5.1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노승봉-가련봉(정상)-만일재-두륜봉-만일재-천년수-북암-오심재
총소요시간 : 4시간 10분(일반인) / 3시간 35분(산악인)
▶7코스(오소재약수터 방면, 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만일재-두륜봉-만일재-천년수-북암-오심재
총소요시간 : 3시간 10분(일반인) / 3시간(산악인)
▶8코스(오소재약수터 방면, 5.3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만일재-두륜봉-진불암-대흥사
총소요시간 : 3시간 10분(일반인) / 2시간 55분(산악인)
▶9코스(오소재약수터 방면, 4.75km)
오소재약수터-오심재-북암-천년수-진불암-대흥사
총소요시간 : 2시간 10분(일반인) / 1시간 40분(산악인)
두륜산은 산 곳곳에 기암절벽이 숨어 있어 보기보다 험한 산이다. 주봉인 가련봉(703m)을 비롯해, 노승봉(685m), 두륜봉(630m), 고계봉(638m), 도솔봉(672m), 혈망봉(379m), 향로봉(469m), 연화봉(613m) 총 8개의 봉우리가 U자형으로 서 있다. 이 능선 가운데 명찰인 대흥사가 자리잡고 있다. 대흥사大興寺는 그 자체만으로도 볼거리가 많고 주변 풍광이 아름답다. 게다가 국보 1점, 보물 3점 등 문화재도 많아 문화유적답사를 위해 이곳을 찾는 이들도 많다.
8개 봉우리 중 가장 등산인들이 많이 찾는 봉우리가 가련봉, 노승봉, 두륜봉이다. 이 세 암봉을 잇는 산행이 가장 일반적이고 인기 있다. 세 봉우리를 도는 꽃 산행 코스는 대흥사~북미륵암~오심재~노승봉~가련봉~두륜봉~일지암~대흥사 코스다. 두륜산 매표소 주차장을 기점으로 다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은 6시간 정도 걸린다. 두륜산에는 여러 암자가 있는데 운치가 있기도 하지만 암자 주변에 야생화가 많다. 암자를 순회하는 코스가 자연스런 꽃산행 코스가 된다. 특히 북미륵암 삼층석탑 부근은 다양한 야생화가 많이 핀다.
대흥사 역사와 유래
대흥사의 창건연기를 전하고 있는 자료로는 『죽미기(竹迷記)』, 『만일암고기(挽日菴古記)』, 『북암기(北菴記)』 등이 있으며, 1823년(순조23) 간행된 『대둔사지(大芚寺志)』는 이들 자료를 종합한 내용과 함께 이때까지의 사찰역사를 총정리해 놓은 중요 자료이다.
426년(백제 구이신왕7)의 신라 정관존자(淨觀尊者) 창건설이다. 신라의 정관스님이 426년 대흥사 산내 암자의 하나인 만일암을 창건, 이후 508년(무령왕8)에 이름을 알 수 없는 선행(善行) 비구가 중건하였다고 하나 안타깝게도 이 자료에서 창건주로 소개한 정관존자는 생애나 활동 내용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이다.
『죽미기』는 544년(신라 진흥왕5) 아도화상(阿度和尙)의 창건설을 전하며, 자장(慈藏)스님과 도선(道詵)스님이 계속해서 중건하였다는 기록도 함께 실려 있다. 현재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써는 대흥사의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라고 하겠다. 하지만 지금 응진전(應眞殿) 앞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의 제작 연대가 통일신라 말기 경으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대흥사는 늦어도 통일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고찰로 보아야 한다.
대흥사 주요 불교 문화유산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바위면에 고부조(高浮彫)되어 있는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은 공양천인상이 함께 표현된 독특한 도상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여래좌상으로 규모가 크고 조각수법도 양감이 있고 유려하여 한국의 마애불상 중에서는 그 예가 매우 드물고 뛰어난 상으로 평가된다.
손(手印)과 발은 항마촉지인에 오른 발을 왼 무릎 위로 올린 길상좌(吉祥坐)를 하였는데, 손가락과 발가락을 가냘픈 듯 섬세하고 가지런히 묘사하여 사실성이 엿보임과 더불어 곱상한 느낌을 준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다 덮은 통견의(通肩衣)로 그 주름은 거의 등간격으로 선각화(線刻化) 하여 사실성이 뒤떨어지고, 무릎 사이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마치 키를 드리운 것처럼 늘어지는 등 도식적(圖式的)인 면이 강하다. 이는 통일신라 말기로부터 고려시대로 이행해 가는 변화과정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둔중한 체구로 다소 경직되어 보이는 본존불과 달리 경주 석굴암 내부 감실(龕室)의 보살상을 연상케도 하는 4구의 천인상은 날렵한 모습으로 부드러움과 함께 세련미가 엿보인다. 천인상들의 조각표현은 이 당시의 거의 유일한 예이자 우수한 조형미를 반영하는 수작으로 평가된다.
▶북미륵암 삼층석탑
두륜산 정상 부근의 북미륵암에 세워진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밑면의 단의 수가 층에 따라 다른데, 1ㆍ2층은 4단, 3층은 3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탑의 머리장식으로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가 남아 있다.
한반도의 남쪽 끝인 해남에 이처럼 구성이 가지런한 탑이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양식에서 일부 간략화된 곳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며,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금동관음보살좌상
이 상은 윤왕좌(輪王坐)의 보살상으로 금동불로는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다. 보살상의 세부 표현과 양식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계승하고 있으나, 타원형의 양감있는 얼굴모습, 유두를 두드러지게 표현한 점, 몸 전면에 영락이 표현되지 않은 점, 몸을 감고 있는 천의자락의 선이 경직되게 표현된 점 등은 조선전기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이 보살상은 조선 전반기의 금동상으로서 규모가 큰 편이고 보관 등에 다소 파손된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원래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크기가 큰 윤왕좌의 보살상은 조선 전기 보살상 중에서는 그 예가 드물며, 신체의 균형이 좋으며 자연스럽게 처리된 옷 주름 등 조각기법이 매우 우수한 금동보살상이다.
▶천불전
천불전은 대흥사 남원(南院)의 중심 불전이다. 큰 대문채와 같이 평범한 단층 5칸 맞배집으로 구조된 가허루의 중앙 문간을 거쳐 천불전 안마당에 들어서면 정면의 높은 장대석 축단 위에 서향하여 자리한 천불전이 마주보이고 왼쪽에는 봉향각이, 오른쪽에는 옛 강원이던 용화당이 마당을 둘러싸고 있어 독립된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대웅전에 비하여 마당은 크지 않지만 공간에 맞게 각 건물의 규모와 형식을 갖추었고,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팔작집인 천불전은 높은 장대석 축단 위에 자리하고 있어 남원(南院) 공간의 중심건물로서 격식과 품위가 느껴진다.
천불전은 1813년에 중건된 건물로 대흥사 남원의 중심건물로서 격식을 갖추고 있으며,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楓溪賢正, 1821) 등을 통해 건물의 중건과 천불 조성 및 봉안의 역사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건축적으로는 평면 비례, 공포 배치, 상부가구 등에서 천불을 봉안하기 위한 합리적인 계획수법을 볼 수 있으며, 공포의 구성과 세부적 조각수법, 빗천장과 우물천장의 장식과 구성, 창호 등은 화려하지만 지나치지 않고 구조 또한 견실하다. 이러한 공포, 빗천장, 우물천장 등의 구성 및 세부적 수법은 인근의 국가지정문화재(보물)인 미황사 대웅전(1754), 불갑사 대웅전(1764), 불회사 대웅전(1808) 등과 유사한 수법을 보여주고 있어 비교되어 가치가 높다.
이처럼 대흥사 천불전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천불전 건물을 대표할 수 있는 건물로서 역사적, 학술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해남 대흥사, 차(茶)를 통한 두 남자의 우정이 담긴 사찰(3)
'힐링 등산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명산 사찰, 변산(능가산)과 내소사 (0) | 2023.07.31 |
---|---|
한번은 가보고 싶은 명산(전남), 달마산과 미황사 (0) | 2023.07.30 |
100대 명산 사찰, 오대산과 선재길(상원사와 월정사) (0) | 2023.07.29 |
100대 명산 사찰, 태백산과 유일사 (0) | 2023.07.29 |
100대 명산 사찰, 두타산과 삼화사 (0) | 2023.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