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힐링 등산 여행

100대 명산 사찰, 무등산과 원효사

by 3000포석정 2023. 8. 13.
반응형

"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무등산 규봉암과 주상절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무등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ㆍ화순군 이서면
-산높이 : 1186.8m
 

100대 명산 선정이유

최고봉인 천왕봉 가까이에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節理)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의 경치가 뛰어나고, 도시민의 휴식처이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보물 제131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元曉寺)가 유명하다.
 

무등산 상세정보

무등산은 산줄기와 골짜기가 뚜렷하지 않고 마치 커다란 둔덕과 같은 산세를 지닌 홑산이다. 가장 큰 특징은 너덜지대로, 천왕봉 남쪽의 지공너덜과 증심사 동쪽의 덕산너덜은 장관을 자랑한다.
 
천태만상의 암석들이 운집한 정상, 천왕봉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바위들의 웅장함은 남도민의 신앙대상이 되어온 신산임을 반증한다. 특히 입석대, 서석대, 규봉의 바위군상은 보는 이를 압도할 만큼 대단하다. 허나 무등산은 전반적으로 완만한 산세이며 대부분이 흙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멀리서 본 전경은 뫼 '山'자를 연상케 하며 호남정맥 흐름의 중심에 솟아 있다. 골짜기들은 맑고 깊은 물을 품어 광주의 젖줄 노릇을 해 왔으며, 위치나 산세 면면이 남도의 으뜸이라 할 만한지라 빛고을 광주를 품기에 부족함이 없는 산이다.
 
광주시가지에서 동쪽으로 불과 10km 거리에 자리하고 있는 무등산은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산의 형세가 험하지 않고 대부분이 흙으로 이루어져 있어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으며, 곳곳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특히 산위에는 서석대, 규봉, 입석대등의 웅장한 바위들이 있으며 산기슭과 중턱에는 약사암, 증심사, 원효사 등의 이름난 절들이 자리잡고 있다.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국립공원으로 산 아래에는 각종 놀이 및 편의시설이 들어서 있다.
 

 

 

무등산 등산코스

너릿재~옛길코스는 광주와 화순을 연결하는 고개를 지나 무등산 최고의 절경 입석대, 서석대를 조망하여 원효사로 하산하는 최장거리 코스임

 
너리잿~옛길코스

화순 이십리곡에서 출발하여 너와나목장을 지나 서석대를 경유 원효사에 도착하는 코스(14.9km, 7시간 20분 소요)
 
▶너릿재~수레바위산 구간(3.3km, 2시간)
화순 이십곡리에서 시작되는 탐방로는 조금만 걷다보면 이내 너릿재 탐방로로 들어서게 된다. 너릿재는 광주광역시의 동구 지원동 관할 선교동과 화순군 화순읍 이십곡리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무등산에서 남서쪽 수레바위산을 거쳐 지장산으로 내려선 능선이 지나가는 곳으로 광주와 화순을 잇는 중요한 재이다. 이정표를 확인하고 탐방로를 따라 걷다보면 전신주와 송전탑을 지나 크고작은 고개길을 오르내린다. 경사가 조금은 있지만 흙으로 잘 다져진 길이다. 용연동 하산로가 갈라지는 삼거리를 지나 올라가면 수레바위산 계단이 나온다.
 
수레바위산~너와나목장~중머리재 구간(4.6km, 2시간 10분)
수레바위산(504m) 정상을 지나 조금 걷다보면 남쪽 동구리 하산로가 갈라진다. 만연산까지 가는 길은 완만한 능선길로서 크게 무리없이 탐방할 수 있는 구간이다. 만연산 능선사거리에 도착하면 우측은 만연사 하산길, 좌측은 너와나목장을 지나 중머리재로 올라가는 길이 나온다. 능선사거리에서 약 30분정도 완만한 흙길을 따라 내려가면 너와나목장이 나온다. 너와나목장의 자갈이 깔린 임도를 지나서 탐방로를 따라 약 20분쯤 가다보면 광주수창초교 학교림이 조성되어 있다. 중머리재까지의 탐방로는 능선을 따라서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머리재~장불재 구간(1.5km, 50분)
중머리재를 출발하여 20분정도 지나면 용추삼거리가 나오는데 길의 경사가 매우 급한 편이며, 삼거리에서 장불재로 이어지는 길의 경사 또한 매우 급하여 중간에 휴식이 필요하다. 장불재는 광주광역시와 화순군의 경계가 되는 해발 900m의 고갯길로 옛날 화순 이서?동복마을 사람들이 광주에 오기위해 꼭 넘어야했던 지름길이다.
 
▶장불재~서석대 구간(0.9km, 30분)

<무등산 입석대>

장불재에서 서석대로 향하는 길은 경사가 그리 급하지 않고 주변 식생을 보호하기 위한 목재데크가 설치되어있어 크게 힘들이지 않고 오를 수 있다. 입석대와 서석대는 무등산의 가장 대표적인 경관자원으로 2005년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등록을 추진할 정도로 세계적으로 희귀한 주장절리대이다. 입석대에서 서석대를 거쳐 하산을 할때는 무등산과 광주시가지의 아름다운 경치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으며, 중봉을 통하여 증심사방향 또는 옛길을 통하여 원효사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서석대~원효사입구 구간(4.2km, 1시간 50분)
서석대에서 옛길2번을 통하여 원효사로 가는 코스는 옛 선비들이 다니던 길을 2009년에 광주광역시에서 새롭게 탐방로로 조성한 곳이다. 이 곳은 원효사까지 가는 최단거리(4.2km)코스여서 최근 많은 탐방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탐방로 중간지점까지는 돌길로, 중간지점 이후부터는 흙길로 되어있으며, 가는 길 중간에 물통거리나 주검동유적, 제철유적지 등 쉼터와 역사문화유적지가 있어 내려가는 길이 심심하지 않다. 제철유적지에서 원효사 입구까지는 약 15분 정도 소요된다.
 

 

 

원효사 역사와 유래

원효사의 창건연대는 6세기 초에서 중반 무렵인 신라의 지증왕, 법흥왕 때로 추측될 뿐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원효대사가 산자수려함을 사랑하여 이곳에 머무르면서 암자를 개축한 후부터 원효사·원효암·원효당 등으로 불렸다고 전해오며, 고려 충숙왕 때인 14세기 전반에 당시 이름 있는 승려가 절을 창건하고 원효를 사모하는 마음에서 원효사라고 했다고도 하는데, 1980년대에 통일신라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었기 때문에 고려시대 창건설화는 잘못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조선 명종 때 문정왕후가 섭정하면서 불교가 진흥하자 이 원효사에도 많은 승려들이 모여 들었으며, 후일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었던 영규(靈圭)대사가 이곳에서 수행하셨습니다.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석경(釋經)스님이 다시 중창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가 이루어졌습니다.
육당 최남선은 1925년 봄에 국토순례할때 이곳 원효사를 탐방한 바 있습니다. 그 때 천년고찰로서 원효사의 모습을 『심춘순례』에 다음과 같이 자세히 전하였습니다.
 
법당(法堂)과 범절(凡節)이 당당한 사찰의 풍모를 갖추었다. 본존인 석가여래상이 거룩하시고 사자의 등에 지운 대법고(大法鼓)는 다른 데서는 못 보던 것이다. 대웅전 오른편에 있는 영자전(影子殿)에는 정면에 달마로부터 원효(元曉), 청허(淸虛) 내지 서월(瑞月)까지의 대정(大幀)을 걸고 따로 1774년(영조 50)에 담양 서봉사에서 옮겨오신 원효화정(元曉畵幀)을 걸었다. 나한전(羅漢殿), 명부전(冥府殿), 선방(禪房), 칠성각(七星閣) 같은 것은 다 있고, 불상도 볼만하니 그래도 원효의 창사 이래 오랫동안 명찰(名刹)이던 자취가 남아 있다.
 
6ㆍ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는데, 1954년부터 당시 주지 인곡스님과 신도들이 중건에 착수하여 사우 일부를 옛 규모보다 축소하여 복구하였습니다. 1980년 5월 대웅전을 해체 복원하기 위하여 그 터를 정리하는 공사를 하였습니다. 이 공사때 절터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불상 6점, 고려시대의 철불두상(鐵佛頭像)ㆍ고려자기 토기불두(土器佛頭) 및 고려와 조선시대에 만든 기와 와당 도자기 등이 출토되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끈 바 있습니다. 이들 출토 유물 32점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절 주변에는 하대석과 옥개석편(屋蓋石片)만 남은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재(石燈材)와, 화강암으로 된 고려시대 3층 석탑, 조선 중기의 회운당부도(會雲堂浮屠 : 원효사부도) 등이 산재해 있으며, 부근에 선심폭포ㆍ풍암정ㆍ장운사ㆍ의상대 등이 있습니다. 원효봉 한 기슭에 있는 원효사 동부도는 (지방유형문화재 제7호) 현존하는 부도중 조각기법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사면에 동물모양의 해학적 모습이 특이합니다. 1980년 법타스님이 대웅전, 요사채, 명부전을 신축복원하였고, 1989년부터 현지스님에 의해 성산각, 개산조당, 요사, 종각, 누각 등의 건물이 세워져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원효사 불교 문화유산

<원효사동부도(좌), 금동여래입상(우)>

원효사동부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이 부도는 원효사 대웅전에서 왼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숲속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 절에 전하고 있는 몇 안되는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3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을 마련한 후,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으로, 바닥돌과 기단의 일부를 제외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은 아래받침돌 윗면에 연꽃조각을 두르고, 옆면의 네 모서리에 숫사자와 암사자를 교대로 배치하였다. 가운데받침돌은 4면에 연꽃을 새기고, 네 모서리마다 사자와 용을 각각 암수로 나누어 조각하였으며, 윗받침돌은 옆면에 연꽃을 돌려 새겼는데 너무 얕아서 형식에 치우친 감이 있다. 탑신의 몸돌은 너비보다 높이가 길며 약한 배흘림을 하고 있다. 지나치게 큰 지붕돌은 가득 새겨진 조각들로 인해 더욱 무거워 보인다. 윗면에는 기왓골과 여덟 모서리선이 뚜렷하고, 밑면에는 2중의 서까래를 조각하여 겹처마를 표현하고 있으며, 여덟 귀퉁이에는 꽃조각 대신 용, 다람쥐, 비둘기, 거북 등의 동물들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는데 이러한 모습은 고려 후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양식이다.
통일신라의 8각양식을 따르면서도, 받침부분 일부에서 4각을 보이고 있고, 지붕돌의 동물조각 등이 전형에서 벗어나 있어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금동여래입상
1980년 5월 무등산 원효사 대중전 불사 기단 정지 작업 중 다수의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불상들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 지정되었고, 국립광주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었다가 2017년 9월부터 송광사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특히 이 유물들은 천년의 시간과 세월의 풍파를 느낄 수 있게 한다. 금동의 부식상태가 심하여 광채의 빛을 잃어버렸지만, 절의 창건연대를 추정하는 중요한 단서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높이 5.7)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100대 명산과 사찰, 무등산과 증심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