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힐링 등산 여행

100대 명산 사찰, 팔영산과 능가사

by 3000포석정 2023. 9. 9.
반응형

"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팔영산 전경, 월간 山>

 

팔영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전남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높이 : 606.9m

 

100대 명산 선정이유

여덟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진 산세가 험준하고 기암괴석이 많으며 조망이 좋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98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예전에 화엄사, 송광사, 대흥사와 함께 호남 4대 사찰로 꼽히던 능가사가 있음. 신선대, 강산폭포 및 자연휴양림이 있음. 정상에서 대마도까지 보일 정도로 조망이 좋음

 

팔영산 상세정보

터질 듯한 봉만미를 자랑하는 산이다. '팔'자 들어간 산 치고 봉만미 뛰어나지 않은 것이 없지만 홍천이나 서산 팔봉산은 작아서 웅장함이 없는데 600미터의 높이에 여덟 암봉이 솟은 이 고흥 최고봉은 빼어난 위에 웅장하기까지 하다. 2봉의 동북동릉과 8봉 남릉의 균형 잡힌 양 어깨에다 앞에는 삼각뿔 천주봉이 지키고있어 구도 또한 완벽하다. 경인지역에서 가장 멀리 있는 산 중 하나인데도 사람들이 끊임없이 찾는 이유다.

 

고흥군에서 1봉에는 유영봉(幼影峯), 2봉은 성주봉, 3봉 생황봉, 4봉 사자봉, 5봉 오로봉, 6봉 두루봉, 7봉 칠성봉, 8봉 적취봉이라고 돌명패를 세워놓았는데 순서와 이름의 상관관계에서 보듯 다분히 작위적이다. 원래는 좀 떨어진 1봉에만 이름이 있었고 나머지는 묶어서 성주봉(聖主峯)이라고 불렀던 것을 하나하나 작명을 한 것이다.

 

전경 촬영 포인트는 점암(占岩)면소가 있는 모룡리다. 그 점암은 고흥사람들이 "바구"라 부르는 바위가 점점이 있다는 뜻인데 점암면에 이런 지형은 팔영산 외에 달리 없다. 그리고 모룡리에는 회계마을이 있는 바 우리말로 "바구다리"라고 한다. 팔영산의 원이름은 바구다리뫼나 바구다리산이었던 것이다.

 

솟음이 우세해 계곡은 썩 발달하지 못했다. 대신 바다가 있다. 육지에 달린 고구마 모양의 반도 고흥의 산이라 사방으로 호수 같은 바다가 펼쳐진다. 고흥읍에서 동쪽으로 25km 떨어진 소백산맥의 맨 끝부분에 위치한 산으로 8개의 봉우리가 남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솟아 있다.

 

 

팔영산 등산코스

산행은 대부분 능가사가 있는 팔영산 오토캠핑장을 출발해 1봉 유영봉부터 순서대로 8봉 적취봉까지 종주한 후 탑재를 거쳐 하산하는 원점회귀 산행을 많이 한다. 암봉의 연속이지만 계단과 쇠줄 등 안전장치가 비교적 확실하게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봉우리 사이의 우회로를 이용하면 초보자나 노약자도 안전하게 산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봉에서 제8봉까지 순서대로 주능선을 밟는 것이 정석이다.

 

특히 등산객이 많은 주말에는 반드시 이러한 순서대로 운행해야 산행에 무리가 없다. 정상인 깃대봉은 8봉에서 30분 정도 더 가야 한다. 깃대봉은 팔영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지만 밋밋하고 멋도 없어 보통 생략한다. 능가사 원점회귀 산행은 4~5시간 정도 걸린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능가사 역사와 유래

417년(눌지왕 1)에 아도(阿道)가 창건하여 '보현사(普賢寺)'라 하였다 하나, 지리적인 위치로 보아 창건자의 신빙성은 없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탄 뒤 1644년(인조 22)에 벽천(碧川)이 중창하고 능가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벽천은 원래 90세의 나이로 지리산에서 수도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밤 꿈에 부처님이 나타나서 절을 지어 중생을 제도하라는 계시를 받고 이곳에 능가사를 신축하였다고 한다. 그 뒤 1768년(영조 44)과 1863년(철종 14)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1993년에 응진전을, 1995년에 사천왕문을 각각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중 사적비는 1726년(영조 2)에 건립한 것으로 불교의 유래와 절의 역사를 기록해놓은 귀중한 자료이다. 전설에 의하면 이 비석은 원래 탑 앞에 있었는데, 덕목이 도술을 부려 절 뒤로 옮겨놓았다고 한다.

 

영조 때 이중환(李重煥)의 기록에 의하면 옛날 일본 류큐(琉球:지금의 오키나와)의 태자가 표류하다가 이곳에 이르렀는데, 이 절의 관세음보살에게 기도하면서 고국으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빌었더니 7일 만에 승려가 나타나서 태자를 끼고 파도를 넘어갔다고 하며, 절의 승려들이 법당 벽에 그 모양을 그려놓았던 것이 영조 때까지 남아 있었다고 전한다. 부속암자로는 만경암(萬景庵)과 서불암(西佛庵)이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다.

 

 

능가사 불교 문화유산

<능가사 대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대웅전(보물)

능가사대웅전은 18세기 중엽에 중건된 정면 5칸, 측면 3칸, 57.58평의 건물로 공포는 외3출목, 내4출목, 다포계의 일반적 수법을 따랐지만 정면 기둥머리의 안초공 수법과 건물 내ㆍ외부에 연봉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기법은 보물로 지정된 영광의 불갑사대웅전, 부안의 개암사대웅전과 그 맥을 같이 하며, 포벽 수장재에 도드라지게 새긴 첨차(檐遮)는 사찰건물에서 보기 드문 예에 속하는 등 조선 중ㆍ후기 호남지역 사찰건축의 일면을 보여주는 건물로 학술적ㆍ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능가사 동종(좌)과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동종(보물)

현존하는 김애립(金愛立)의 작품 가운데 가장 뒤늦은 시기인 1698년에 제작된 작품이지만, 그의 작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종신의 전체적인 외형은 상부가 좁고 아래로 가면서 점차 넓게 벌어져 여수 흥국사 동종과 유사하며, 용뉴는 쌍룡(雙龍)으로 구성되었다. 연곽대와 연곽대 사이에는 4구의 보살입상이 유려한 모습으로 부조되었고, 종신 한쪽에는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전패(殿牌)가 마련되었다.

 

이 종은 용뉴의 웅건한 표현과 단정한 보살입상, 세부 문양의 정교함 등 김애립 범종의 완숙한 기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17세기를 대표하는 범종으로 꼽기에 손색이 없는 수작이다.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일괄(보물)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은 능가사 응진당(應眞堂)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 일괄로, 복장(腹藏)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685년 6월 전라도 홍양현(洪陽縣) 팔영산(八影山) 능가사(楞伽寺) 비구(比丘) 상기(尙機)가 불자(佛子)들을 모아 발원하고,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조각승 색난과 그의 동료ㆍ제자들이 주도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고흥 능가사 석가여래삼존상과 십육나한상은 응진전 조상(造像)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석가여래와 미륵보살, 제화갈라 보살 삼존상을 비롯해 문수ㆍ보현보살과 아난ㆍ가섭존자가 육대보살로 이루어진 이채로운 구성이라는 점에서 연구가치가 높다. 이는 이러한 형식의 응진전 도상이 1624년의 순천 송광사 응진전 존상에서 시작해 이후 색난에 의해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한 사실을 통해서도 조각사적으로 주목되는 현상이다.

비록 일부 존상이 남아 있지 않지만, 현존하는 상만으로도 구성이 거의 완전하고, 나한상의 표정과 자세, 지물(持物)과 대좌 등에 채택된 동물 등 창의성이 뛰어나 풍부한 표현력을 보여주고 있어 예술성도 탁월하다.

특히 나한상 상호와 세부표현은 색난조각의 스승으로 판단되는 응원(應元)과 인균(印均)의 조각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바위 대좌에 동물 소재를 적극 활용했다는 점에서 색난의 또 다른 조각 스승인 무염(無染)의 영향도 엿보인다. 따라서 능가사 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은 색난 조각의 형성과 발전, 조각승의 사승관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불교조각사적 의의가 큰 작품이다.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