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칠갑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정산면, 장평면
-산높이 : 559.7m
100대 명산 선정이유
백운동 계곡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3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계곡은 깊고 급하며 지천과 계곡을 싸고 돌아 7곳에 명당이 생겼다는 데서 산이름이 유래. 신라 문성왕 때 보조(普照) 승려가 창건한 장곡사(長谷寺)에 있는 철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174호) 등이 유명하다.
칠갑산 상세정보
유창한 능선 골골에 명당갑터 일곱을 감추고있다는 산이다. 600미터도 안 되는 높이에 수더분한 육산인데도 이렇게 대단한 잠재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주릉이 5방으로 뻗어나간 산세나 청양 분지에서 비롯하는 아흔아홉골 지천(芝川)이 범상해보이지는 않는다. 그 청양은 임진왜란과 남북전쟁때 총소리 한 번 나지 않았고 승지로 이름난 마곡사의 유구천을 이웃에 둔 것을 보면 일단은 고개가 끄덕여진다.
국보 둘과 보물 셋을 품은 장곡사에 이르면 확신에 가까워진다. 일곱 중 여섯은 몰라도 적어도 하나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국보 58호의 철조약사여래좌상(석조 대좌 포함), 철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74호), 이들이 들어있는 상대웅전(보물 162호), 금동약사여래좌상(보물 337호)과 그 집인 하대웅전(보물 181호), 그리고 삼베에 그린 미륵불괘불탱(국보 300호)을, 본산도 아닌 이 작은 절이 갖고있다.
봉만미(峰巒美)도 계곡미도 없는 산이지만 전망은 꼽아줄 만하다. 금강 이북의 충남 최고봉 오서산(789.9m)은 물론 서남쪽의 성주산(677m), 동북쪽의 광덕산(699.3m)에 이르기까지 내노라 하는 산들과 호형호제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부여가 손에 잡힐 듯 가깝다.
칠갑산은 해발 561m의 낮은 산이기는 하나 산세가 거칠고 가파르다. 아직은 널리 알려지지 않아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산위에 오르면 서해가 바라다 보이고 골짜기마다 흐르는 물이 모여 지천과 사천을 이룬다.
칠갑산 등산코스
칠갑산 등산로 중 제일의 인기 등산코스는 청양군의 명소와 중요문화유산을 두루 살펴 볼 수 있는 '사찰로 코스'이다.
▶사찰로 코스
칠갑산 장곡사 주차장 식당가에서 시작하는 사찰로의 첫 구간은 장곡사까지 1.4km. 포장도로지만 은행나무가로수가 그늘을 드리우는 아름다운 길을 여유롭게 걸으며 산행준비를 하는 구간이다.
두 번째 구간은 장곡사에서 휴양로와 만나는 삼거리까지. 장곡사 경내를 살짝 스치며 등산로가 시작된다. 비교적 가파른 길과 계단이 교차하며 나타나다가 걷기 좋은 길을 100m 쯤 지나면 휴양로와 정상으로 이어지는 삼거리를 지나면서 정상까지 2.5km를 남기게 된다.
▶사찰로의 첫 명소 '칠갑산장승공원'
사찰로의 등산은 주차장과 인접한 칠갑산장승공원에서 시작한다. 이 공원은 전국 최대의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을 비롯하여 청양마을장승, 시대별장승, 창작장승, 외국장승 및 전국 각처의 300여기의 장승이 재현되어있으며 전국을 대표하는 장승조각들 중 그 지역을 대표하는 장승을 재현해 강원, 서울, 경기, 충남, 충북,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제주 등지의 지역별장승도 세워져 있다.
이곳의 관람 포인트는 장승의 표정이다. 장승은 그 시대의 사회성, 정치성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애환이 장승이란 조형물로 탄생된 것인 바, 장승의 표정을 유심히 보면 그 시대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장곡사. 그리고 가는 길 '주차장에서 장곡사까지'
골짜기가 길어서 "장곡(長谷)". 여기에 "절 사(寺)" 자 붙으니 「장곡사(長谷寺)」다. "절 사"자 대신 "마을 리(里장)" 자를 붙이면 「장곡리(長谷里)」가 된다. 마을의 이름도, 절의 이름도, 같은 뜻으로 들어가는 "장곡"은 절과 마을이 자리하고 있는 지형적 특성을 지명(또는 사명(寺名)으로 순수하게 사용하고 있다.
주차장에서 장승공원을 지나치면서 시작한 산행은 일주문을 지나면서 은행나무 가로수가 줄지어 있는 아름다운 길로 이어진다. 계곡 따라 휘돌아 가는 운치 있는 길 위에서 자연의 향기를 오감으로 느끼며 장곡사에 다다르는 이 구간은 주차장에서 장곡사까지 1.2km. 이 구간동안 해발고도 45m의 고도를 높인다. 매우 완만하여 산책삼아 팔자걸음으로 여유 있게 이동할 수 있다.
▶대웅전이 둘, 천년고찰 '장곡사'
장곡사는 대웅전 2채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세계적으로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구조의 가람배치는 위에 위치한다 하여 '상대웅전', 아래에 위치한다하여 '하대웅전'이라 할 수 밖에 다른 명칭으로 구분하여 부르기가 어렵다.
다만 다른 것은 각각의 대웅전 내부에 모신 부처가 다르고 상대웅전 옆에 응진전을 배치한 것과 하대웅전 옆에 지장전을 배치한 것이 다르다. 또 다른점은 상ㆍ하 대웅전 서로를 엇갈리게 배치하고 있는데, 하대웅전은 상대웅전보다 훨씬 낮은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장곡사에서 '정상까지'
장곡사에서 정상까지 3.0km. 정상을 향해 처음 500m는 숨 가쁘게 올라야한다. 해발고도 137m인 장곡사에서 326m의 고도를 높여야하는 만큼 계단과 급한 경사면을 이용해 올라야하기 때문에 지구력을 요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장곡사에서 시작해서 휴양림과 정상을 잇는 삼거리를 잇는 구간으로 이 구간을 지나면 0.72km 길이의 멋진 소나무 숲길이 기다린다. "구불구불"리듬감 있는 소나무 숲길을 감상하며 다음 구간을 위해 숨을 고르기에 좋다.
소나무숲길을 지나면 기다리는 2.28km의 구간은 계단 오르기를 시작으로 능선을 타는가 하면 능선을 우회하여 산자락을 타기도하면서 정상을 향한다. 특히 이 구간은 칠갑산 정상부에서 유일할 만큼 바위를 밟고 올라서는 구간이 많아 험한 것이 특징이다.
▶장쾌한 풍광의 파노라마 '칠갑산 정상'
1973년 3월 6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칠갑산은 면적 32.542㎢로 여의도 면적에 비해 4배에 가까운 큰 산이다. 산장로, 천장로, 도림로, 지천로, 사찰로, 휴양림로, 칠갑로 등 칠갑칠로 모두의 정상인 칠갑산 정상의 풍광은 장쾌하다.
나뭇가지 하나 경관을 거스르지 않고 주변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칠갑산 정상(561m)은 그 자체가 감동의 파노라마다. 남서쪽을 휘돌아 나가는 금강이 아련하고 동남쪽으로 민족의 영산 계룡산이 조망되며, 서북쪽은 보령의 오서산이 조망되며 서쪽은 날씨가 맑은 날 서해바다까지 조망된다.
장곡사 역사와 유래
장곡사는 칠갑산 남쪽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가람으로 850년(신라 문성왕) 보조선사 체징이 절을 처음 지은 것으로 전해지며 이후 오랜 세월을 거치며 중수를 거듭했다.
국보 제58호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국보 제300호 장곡사미륵불괘불탱, 보물 제162호ㆍ181호 상ㆍ하대웅전, 보물 제174호 장곡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보물 제337호 금동약사여래좌상, 유형문화재 제151호 설선당 등 전국적으로도 보기드문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다.
또한 장곡사는 다른 사찰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ㆍ하 대웅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약사여래기도 도량으로 유명하다. 귀중한 문화재를 많이 소장하고 있는 천년고찰로 전국에서 신도들과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장곡사 주요 불교 문화유산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국보)
충청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고 있으며, 무릎 위에 놓인 왼손에는 약항아리가 얹혀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없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싼 옷은 느슨하게 처리되었고, 옷주름 또한 드문드문 표현되었다.
광배는 원래 돌로 되었을 것이나 파손되어 조선시대에 나무광배로 대체한 것 같다. 광배 중심부에는 꽃무늬, 주변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어 신라말과 고려초에 유행하던 광배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특이한 탑 모양의 대좌와 감실형의 구조, 그리고 단아한 철불양식을 보여주는 9세기 말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초의 뛰어난 불상으로 평가된다.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용화수 가지를 들고 있는 미륵불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진행할 때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장곡사에 있는 이 그림은 미륵불을 화면 중심에 두고 6대 여래, 6대 보살 등 여러 인물들로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인간세계에 내려와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인 미륵불은 사각형의 얼굴에 머리에 4구의 작은 불상이 있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풍만하고 살찐 모습으로 유난히 긴 팔과 커다란 상체를 가지고 있다.
좌우에 있는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은 머리에 둥근 두광이 있고 각각 두 손을 맞잡은 손 모양과 어깨 높이까지 두 손을 들어 올려 설법하는 손모양을 하고 있다. 그 밖의 다른 여래와 보살들은 각기 상징하는 물건들을 들고 있으며 10대 제자는 두손을 모아 합장한 자세로 방향이나 표현을 달리해 변화를 주고 있다.
이 그림은 조선 현종 14년(1673) 철학(哲學)을 비롯한 5명의 승려화가가 왕과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기 위해 그린 것이다. 미래불인 미륵을 본존으로 삼고 있지만 그림의 내용은 현세불인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영산회상도와 비슷한 것으로 등장인물들과 배치구도가 독특한 작품이며 경전의 내용과도 다른 점이 있어 앞으로 연구할 가치가 많은 작품이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국보)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발원문을 포함한 복장유물이 추가로 연구됨에 따라 제작시기와 발원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1346년(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있어, 고려 후기 불상 연구의 절대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정확한 약기인(藥器印)을 취하고 있는 약사여래의 도상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머리와 이목구비, 신체와 불신의 표현 등에서 14세기 불상의 전형 양식을 간직하고 있으며, 이 시기 불상 중에서도 뛰어난 예술적 조형성을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주조기술법에 있어서도 내외부의 주조결함이 거의 없을 정도로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보여 주는 점도 높이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고려 후기에 제작된 불상은 대부분 아미타 정토신앙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이 불상 역시 이러한 신앙적 배경과 더불어 고려 후기 유일의 금동약사여래상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따라서 이 불상을 통해 당시 아미타정토 신앙뿐만 아니라 약사 신앙의 흔적을 분명하게 알려 준다는 점에서 신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장곡사 불상의 제작을 주도한 계층은 고려 왕족을 비롯해 하급무관과 군부인들로 보이며, 이들은 몽고침탈기 동안 대표적인 불사(佛事) 주도층이었다. 아마도 이들은 본인이나 가족 중에 전쟁에 직접 참전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불사를 통해 자신과 가족의 무병장수와 전쟁 중에 죽은 친족의 극락왕생을 발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명 중에는 공민왕의 몽고식 이름인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를 비롯해 금타이지(金朶兒只), 도르지(都兒赤)처럼 몽고식 이름이 눈에 띠는데, 당시 고려 사회에 스며든 몽고 풍속의 실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이는 역사의 기록 속에서 찾을 수 없는 14세기 중엽 경의 시대상을 꾸밈없이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ㆍ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정황 등을 종합해 볼 때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은 미술사 뿐 아니라 불교사, 사회사적 측면에서도 고려 14세기 중반의 역사상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발원문 및 조성에 참여한 시주자가 기록된 묵서가 있는 직물편, 그리고 공예적 수준이 뛰어난 향낭(香囊)과 함께 국보로 가치가 충분하다.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보물)
장곡사는 칠갑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후기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ㆍ하 대웅전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는데, 상대웅전은 하대웅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상대웅전은 앞면 3칸ㆍ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특이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건물 안쪽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으며, 그 중에는 통일신라 때 것으로 보이는 잎이 8개인 연꽃무늬를 새긴 것도 섞여 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부재들의 짜임수법이 특이하여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국보)와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보물) 등 귀중한 문화재를 보관하고 있다.
▶장곡사 철조비로자바불좌상 및 석고대좌(보물)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의 상대웅전 안에 모셔져 있는 불상으로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작은 얼굴에는 긴 눈썹과 가는 눈, 작은 코와 입 등이 표현되어 다소 세속화된 모습이다. 어깨는 넓지만 볼륨은 약화되었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는데, 드러나 있는 오른쪽 어깨가 너무 소홀하게 처리된 느낌이다. 두 손은 가슴 앞에서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는 비로자나불만이 취하는 독특한 손모양으로 부처와 중생이 하나라는 의미를 지닌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는 원래의 것이 아니라 석등 대좌를 가져다 놓은 것으로 불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어색한 모습이다.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나무로 만들었는데, 머리광배ㆍ몸광배 안에 꽃모양의 장식이 채색되어 있다. 광배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가 채색되어 있는데 이런 것들은 모두 옆에 놓여 있는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국보)의 광배와 같은 양식이다.
▶장곡사 하 대웅전(보물)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하 대웅전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는데, 하대웅전은 상대웅전보다 훨씬 낮은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대웅전은 조선 중기에 지은 것으로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보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소박한 맞배지붕에 화려한 다포 양식을 가미한 것은 보기 드문 예이다.
건물 안쪽에는 상대웅전이 전돌을 깐 것과 달리 마루를 깔았고 불단에는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보물)을 모시고 있는데, 이는 고려 후기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힐링 등산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명산 사찰, 치악산과 구룡사 (0) | 2023.08.12 |
---|---|
100대 명산 사찰, 마이산과 금당사 (0) | 2023.08.12 |
100대 명산 사찰, 덕숭산(수덕산)과 수덕사 (0) | 2023.08.12 |
100대 명산 사찰, 백암산과 백양사 (0) | 2023.08.02 |
100대 명산 사찰, 가야산과 해인사 (2) | 2023.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