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힐링 등산 여행

100대 명산 사찰, 선운산(도솔산)과 선운사

by 3000포석정 2023. 8. 15.
반응형

"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선운사 사자바위 전경, 월간 山>

 

선운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ㆍ심원면ㆍ해리면
-산높이 : 334.7m
 

100대 명산 선정이유

산세는 별로 크지 않으나 숲이 울창하고 곳곳이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관이 빼어나며 천연기념물 제184호인 동백나무 숲이 있는 등 생태적 가치가 크고 도립공원으로 지정(1979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제 위덕왕 24년(577년) 검단선사가 창건한 선운사(禪雲寺)와 수령 5백년의 동백나무 3천여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선운사 동백 숲이 유명하다.
 

선운산 상세정보

구름 속에 누워 선을 닦는다는 참선와운(參禪臥雲)의 산이다. 선이란 것이 본래 구름 잡는 것이니 콕 찝어 무엇을 어쩐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 산에 가보면 막연히, 그럼직도 하다는 느낌이 든다. 산형이 벌레 잡는 풀 통발처럼 생겼다. 상봉 경수산에서 시작, 도솔산(334.7m), 개이빨산(346.6m), 청룡산(315m), 비학산(308.5m), 구황봉(297.9m)으로 이어지는 운두가 고작 300미터 안팎의 낮은 산인데도 7킬로미터나 되는 평평한 긴 골이 선적 분위기에 젖어들게 한다. 걸음도 마음도 차분해지는 것이다.
 
대낮에도 어둑한 아름드리 고목 아래를 걷고있어서만은 아니다. 가을이면 그 붉은 잎들 봇물 위에 화엄경을 연출해서도 아니다. 눈밭 속에 이채로운 동백꽃이나 숲 속의 분홍 주단 상사화들의 싯적 꽃말 때문만도 아니다.
 
신들메를 하고 운두 돌기를 해도 마찬가지다. 안장바위, 병풍바위, 벌바위, 낙타바위, 배맨바위, 용문굴의 띄엄띄엄 기암들과 전설들에다 널띠너른 무장들, 하얗게 빛나는 잿빛 뻘바다에 도무지 서두르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상봉 경수산은 저만치 홀로 떨어져있다. 가을날 거기 서면 추수 끝낸 흥덕 들의 까끄라기 태운 연기가 해풍 따라 휘도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아! 선운산은, 눕지 않아도 선정(禪定)에 들 수 있는 산이다.
 
봄이면 동백꽃과 벚꽃으로 유명한 선운산은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는 산으로 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명산이다. 본래 도솔산이었으나 백제 위덕왕 24년(577년)에 창건한 선운사(禪雲寺)가 있어 선운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선운산은 이름 그대로 구름 속에 선(禪)을 닦는 산으로 선운사를 비롯해 참당암, 도솔암, 석상암, 동운암 등 유서 깊은 사찰과 암자가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그 중 선운사는 백제 위덕왕 24년(577년)에 검단(黔丹)선사가 창건한 사찰로, 한때 89개 암자를 거느리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4개의 암자만 남아있다. 선운사 대웅전 뒤에는 5천여 평의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제184호)이 있는데 매년 4월 중순이면 붉게 피어나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선운산이 표시돼 있지만 현재 각종 지도에는 선운산이라 표시되어 있지 않으며, 선운사 뒷산을 '도솔산' 또는 '수리봉' 으로 표시하고 있다. 선운사 창건 설화는 여러 가지가 있다.
 
원래 선운사 자리는 용이 사는 용추로 검단선사가 용을 쫓아냈지만 용추를 메울 길이 없자, 용추에 꼭두각시 배를 띄우고 돌을 던져 꼭두각시 놀이를 하게 하였다 한다. 또 그 때 마을에 눈병이 퍼졌는데 숯 한 짐씩을 용추에 버린 뒤 눈을 씻으면 낫는다는 소문을 퍼뜨려 용추를 메워 선운사를 지었다는 전설이 있다.
 
실제로는 검단선사가 그의 친구이자 신라 24대 진흥왕의 왕사인 의운(義雲)선사의 도움을 받아 진흥왕의 시주로 선운사를 창건하였다 한다. 진흥왕이 중생제도를 위해 왕위를 버리고 도솔왕비와 중애공주를 데리고 입산, 수도하였다는 진흥굴(眞興窟. 일명 좌변굴(左邊窟),열석굴(裂石窟))이 도솔암 아래에 남아있다. 낙조대에서 바라보는 서해바다의 조망과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모습을 한 천마봉 등 볼거리가 푸짐한 이 산은 암자와 바위, 굴마다 숱한 전설이 깃들어 있어 지루함 없이 산행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선운산 마애불에는 재미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부터 마애불 배꼽 속에 신기한 비결이 들어 있고 그 비결이 나오는 날 한양의 이씨가 망한다는 전설이 있었다. 전라도 감사 이서구(李書九)가 마애불의 배꼽을 열어 보려다가 뇌성벽력이 쳐, 실패한 일이 있었는데 동학혁명이 일어나기 전 동학의 간부 손화중(孫和中)이 배꼽을 열고 그 비결을 꺼내갔다고 한다.
 

 

선운산 등산코스

-1코스(4.7km, 왕복 3시간)
관광안내소~도솔암~용문굴~낙조대~천마봉
-2코스(6.1km, 왕복 5시간)
관광안내소~석상암~마이재~포갠바위~참당암~소리재~낙조대~천마봉
-3코스(10.8km, 왕복 약8시간)
관광안내소~경수봉~마이재~수리봉~국사봉~소리재~천마봉
-4코스(8.3km, 왕복 약10시간)
관광안내소~도솔제~투구바위~사자바위~쥐바위~청룡산~배맨바위~낙조대
 
4코스 상세설명
도솔제를 앞두고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초반 1km 정도는 가파른 오르막이 이어지는데, 이 길은 투구바위로 가는 길이다. 투구바위는 클라이머들에게는 익히 알려진 자연암장이다. 두 거대한 바위가 문지기처럼 딱 버티고 서 있는 모습은 근엄하기까지 하다.
 
투구바위를 지나 능선을 이으면 사자바위에 당도한다. 바위에 박아놓은 인공 홀드와 밧줄을 잡고 바위 위에 서면 오른쪽 아래로는 도솔암과 도솔천 내원궁, 마애불, 용문굴이 정면으로 펼쳐지고 위로는 배맨바위가 작게 보인다. 
 
사자바위를 지나 1km쯤 가면 국기봉(338m) 갈림길에 당도한다. 여기서 희야재 이정표 반대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청룡산이다. 청룡산 정상은 특별한 구조물이나 전망이 없어 그냥 지나친다.
 
전망이 좋은 쥐바위봉을 지나 병풍바위에서 철 계단을 내려오면 낙조대에 닿는다. 높이는 335m밖에 되지 않지만 날이 좋으면 서해 칠산바다, 곰소만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낙조대에서 오른쪽으로 잠깐 빠지면 천마봉에 이른다. 천마봉에서는 또 다른 절경을 볼 수 있다. 바로 선운산 기암의 풍광이다. 산등성이 사이로 솟아오른 커다란 바위기둥들은 계절마다 색을 달리하는 초목들과 어우러져 절경을 뽐낸다.
 

선운사 역사와 유래

선운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577)에 고승 검단(檢旦, 黔丹)선사가 창건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하고 있다. 첫 번째 설은 신라의 진흥왕(재위기간 540~576)이 만년에 왕위를 내주고 도솔산의 어느 굴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이때 미륵 삼존불이 바위를 가르고 나오는 꿈을 꾸고 크게 감응하여 중애사(重愛寺)를 창건함으로써 이 절의 시초를 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곳은 신라와 세력다툼이 치열했던 백제의 영토였기 때문에 신라의 왕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였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시대적ㆍ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검단선사의 창건설이 정설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검단스님의 창건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본래 선운사의 자리는 용이 살던 큰 못이었는데 검단스님이 이 용을 몰아내고 돌을 던져 연못을 메워나가던 무렵, 마을에 눈병이 심하게 돌았다. 그런데 못에 숯을 한 가마씩 갖다 부으면 눈병이 씻은 듯이 낫곤 하여, 이를 신이하게 여긴 마을사람들이 너도나도 숯과 돌을 가져옴으로써 큰 못은 금방 메워지게 되었다. 이 자리에 절을 세우니 바로 선운사의 창건이다. 검단스님은 "오묘한 지혜의 경계인 구름[雲]에 머무르면서 갈고 닦아 선정[禪]의 경지를 얻는다" 하여 절 이름을 '禪雲'이라 지었다고 전한다.
 
또한 이 지역에는 전쟁 난민이 많았는데, 검단스님이 불법(佛法)으로 이들을 선량하게 교화시켜 소금을 구워서 살아갈 수 있는 방도를 가르쳐주었다. 마을사람들은 스님의 은덕에 보답하기 위해 해마다 봄ㆍ가을이면 절에 소금을 갖다 바치면서 이를 '보은염(報恩鹽)'이라 불렀으며, 자신들이 사는 마을이름도 '검단리라 하였다. 선운사가 위치한 곳이 해안과 그리 멀지 않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곳에서 염전을 일구었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염전을 일구어 인근의 재력이 확보되었던 배경 등으로 미루어 검단스님이 사찰을 창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선운사 주요 불교 문화유산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좌)과 선운사 대웅전(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은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하고 광해군 5년(1613)에 재건한 선운사에 있는 불상으로 청동 표면에 도금한 것이다. 머리에 두건(頭巾)을 쓰고 있으며, 이마에 두른 굵은 띠는 귀를 덮고 배에까지 내려오고 있다. 선운사 도솔암에 있는 선운사지장보살좌상(보물)과 같은 형태의 불상이다. 두건을 쓴 모습, 네모지고 원만한 얼굴, 형식적이고 수평적인 옷주름 처리 등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보살상으로 추정된다.
 
대웅전(보물)
선운사는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흥왕이 세웠다는 설과 백제 고승 검단선사가 세웠다는 두가지 설이 전한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조선 후기의 사료에는 진흥왕이 세우고 검단선사가 고쳐 세운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선운사 대웅전은 신라 진흥왕 때 세워진 것으로 전하며, 현재 건물은 조선 성종 3년(1472)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려 광해군 5년(1613)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5칸 옆면 3칸의 규모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만든 기둥위의 장식구조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옆면에는 높은 기둥 두 개를 세워 간단히 처리하였다. 전체적으로 기둥 옆면 사이의 간격이 넓고 건물의 앞뒤 너비는 좁아 옆으로 길면서도 안정된 외형을 지니고 있다. 건물 뒤쪽의 처마는 간략하게 처리되어 앞뒤 처마의 모습이 다르며 벽은 나무판으로 이루어진 널빤지벽이다. 안쪽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을 한 우물천장을 설치하였고 단청벽화가 매우 아름답다.
조선 중기의 건축답게 섬세하고 장식적인 구성과 빗살 여닫이문이 화려한 건물이다.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좌)과 선운사 만세루(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선운사 도솔암으로 오르는 길 옆 절벽에 새겨진 마애여래좌상으로, 머리 주위를 깊이 파고 머리 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차 두껍게 새기고 있다.
평판적이고 네모진 얼굴은 다소 딱딱하지만 눈꼬리가 치켜 올라간 가느다란 눈과 우뚝 솟은 코, 일자로 도드라지게 나타낸 입술 등으로 얼굴 전체에 파격적인 미소를 띠고 있다. 목에는 3개의 가느다란 주름이 있기는 하지만 상체와 머리가 거의 맞붙어서, 상체 위에 머리를 올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상체는 사각형인데 가슴이 넓고 평판적이어서 양감없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은 고려 초기의 거대한 마애불 계통 불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가슴의 복장에서 동학농민전쟁 때의 비밀기록을 발견한 사실로 인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만세루(보물)
만세루의 특징은 사찰 누각으로는 가장 큰 규모인 정면 9칸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존 사찰 누각은 대체로 정면 3칸이 주류이고 5칸, 7칸 규모도 있으나, 9칸 규모는 흔치 않다. 그리고 이 건물의 가운데 3칸은 앞뒤 평주 위에 대들보를 걸고 좌우 각 3칸은 가운데 고주를 세워 맞보를 거는 방식을 취했다. 이처럼 만세루는 하나의 건물 안에서 두가지 방식으로 보를 걸어 구조적 안전을 꾀하면서 누각의 중앙공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어칸 고주 종보는 한쪽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자연재를 이용하였다. 이는 일부러 가공한 것이 아닌 자연에서 둘로 갈라진 나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마치 건물 상부에서 보들이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이 건물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 아래 블로그에 들어가시면 더 많은 선운사의 불교 문화유산을 보실 수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