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힐링 등산 여행

100대 명산 사찰, 비슬산과 유가사(소재사)

by 3000포석정 2023. 8. 27.
반응형

 

'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ㆍ도립공원(15)ㆍ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또 가리왕산, 운장산, 황악산 등 생태적 가치가 큰 산(16)과 역사, 문화, 경관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산(28)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가를 즐기기 위해 또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가족과 동료, 연인과 아름다운 산을 오르기 위해 등산하는 것도 좋지만, 명산(名山)에 천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사찰이 있다면 사찰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우리 문화유산을 같이 둘러본다면 더욱 즐거운 등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명산대찰(名山大刹)을 이어주는 글을 연재하고자 하오니 즐거운 산행하시기 바랍니다.

 

<비슬산 진달래 평원 전경, 월간 山>

비슬산 소재지 및 높이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ㆍ유가면ㆍ가창면,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산높이 : 1083.4m

 

100대 명산 선정이유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억새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북쪽의 팔공산과 함께 대구분지를 형성하며 낙동강을 끼고 있음. 고려말 공민왕 7년(1358년) 진보법사가 창건한 소재사(消災寺) 등이 유명하다.

 

비슬산 상세정보

대구를 분지로 만드는 두 산은 팔공산과 비슬산이다. 화강암질의 팔공산이 산세가 웅장하여 아버지 산이라면 안산암질의 비슬산은 온화하고 부드러워 어머니 산이라 할 만하다. 비슬산은 우리나라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는 진달래 명산이다. 평탄한 정상부에 위치한 진달래 군락지는 봄이면 꽃바다를 이룬다. 진달래와 더불어 비슬산이 갖춘 명품은 바위다. 비슬산의 바위는 아름다울뿐만 아니라 신기하다. 절벽 밑에 부채꼴 모양으로 쌓인 돌무더기와 암괴류가 만들어내는 풍경은 과히 돌의 바다라 할 만하다.

 

경상북도 청도군과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경계에 있는산, 최고봉은 대건봉이며 남쪽으로는 조화봉, 관기봉과 이어지며 유가사쪽에서 올려다보면 정상을 떠받치고 있는 거대한 바위능선이 우뚝 솟아있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낙동강의 경치가 아름답고 봄철에는 철쭉, 진달래 가을에는 억새군락이 볼만하다. 스님바위, 코끼리바위, 형제바위등의 이름난 바위와 달성군 옥포면의 용연사를 비롯하여 용문사, 유가사등의 사찰이 산재한다. 정상인 대견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988봉 - 조화봉으로 이어진다.

 

조화봉 능선에서 서쪽으로 대견사 터 - 1034봉으로 이어지며 1034봉에 팔각정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상에서 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앞산으로 가는 안내표시가 되어 있다.정상에서 조화봉 까지 약 4km에 걸친 능선은 988봉 주변에 바위가 있을 뿐 육산(흑산)으로 큰 나무들이 없는 시야가 탁 트이는 초원 같은 이 능선에 가을에는 억새가, 봄에는 군락을 이룬 진달래가 붉게 물들인다. 진달래 군락사이에 싸리나무 등 잡목들이 섞여 있으나 진달래가 더 많다.

 

비슬산 진달래는 정상부근, 988봉 부근 아래, 대견사 터 산자락 등 크게 3군데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견사터 북쪽 광활한 30여만평의 산자락이 대규모 진달래 군락지이며, 진달래가 가장 곱고 밀집되어 있는 곳은 988봉 부근 아래 산자락이다. 진달래는 4월 중순부터 물들기 시작해 4월 말에 절정에 달한다. 4월 하순경 참꽃(진달래)제가 열린다.

 

 

 

비슬산 등산코스

주요 등산로는 대구 달성군에서 접근하는 게 일반적이다.

▲가장 짧은 정상 접근 등산로는 서쪽 유가사. 유가사에서 정상 천왕봉까지 2.5km. 약 3시간 소요된다.

▲유가사에서 진달래 군락지가 있는 대견사까지는 3.4km. 3시간 30분가량 걸린다. 대견사에서 정상 천왕봉까지는 2.6km. 마지막 정상 부위만 조금 가파르고 나머지 구간은 거의 평지에 가깝다. 1시간 정도 걸린다.

▲남쪽 비슬산자연휴양림에서 대견사까지는 1.6km로 2시간 걸린다.

▲비슬산자연휴양림에서 대견사를 거쳐 정상 천왕봉을 지나 북쪽 앞산 방향으로 하산하면 총 12.7km로 하루 종일 잡아야 한다.

 

대견사는 9세기 통일신라 흥덕왕 때 일연 스님이 주지로 부임해 22년간 머물면서 「삼국유사」 집필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구상한 유서 깊은 고찰로, 20세기 초 폐사 이후 오랜 세월 삼층석탑 한 기만 남아 있다가 달성군 개9청 100주년에 맞춰 2014년 3월 적멸보궁과 선당(禪堂), 산신당, 요사채 모두 4동이 완공됐다.

 

※유가사 입구에서 도성암을 거쳐 대견봉 정상까지는 2시간 정도 걸리며, 유가사~도성암 2km 구간은 콘크리트길이 닦여 승용차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100대 명산 대찰(名山 大刹) 이야기 - 종합

 

 

 

소재사 역사와 유래

신라시대에 창건된 절로서,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다. 그 뒤 1358년(공민왕 7)에 진보(眞寶)가 중창하였고, 1457년(세조 3)에 활륜(活輪)이 중건하였으며, 1510년(중종 5)에 외암(外巖)이 중수하였고 1701년(숙종 27)에 청심(淸心)이 중창하였으며, 1841년(헌종 7)에는 완산(玩山)이 중창하였다.

 

그 뒤 1857년(철종 8)에 법허(法虛)가 중수하였으며, 1900년(광무 4) 왕산이 중창하였다. 1976년 대웅전을 해체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 근처에는 피부병과 고질병에 좋다는 약수가 솟는 금물정(金水井)이 있다. 샘의 물표면에 금가루 모양의 작은 먼지들이 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유가사 역사와 유래

<비슬산 도성암 전경>

827년(흥덕왕 2) 도성(道成)이 창건하였고, 889년(진성여왕 3) 탄잠(坦岑)이 중창하였다. 1047년(문종 1)에 학변(學卞)이 중수하였으며, 1452년(문종 2)에 일행(逸行)이 중수하였다. 전성기에는 3,000여 명의 승려들이 머물렀으나, 임진왜란의 전화로 소실되었다.

 

그 뒤 1682년(숙종 8)에 도경화상(道瓊和尙)이 대웅전을 보수하였으며, 1729년, 조선 영조 5년 취화(就和)와 파봉(巴峰)이, 1760년, 보월(寶月)이, 1776년, 밀암(密庵)이 중수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반포된 「31본사사찰령」에는 유가사가 동화사의 수반말사(首班末寺)로 되어 있어 당시 유가사의 사세가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문화재로는 2003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유가사 석조여래좌상과 괘불(掛佛), 삼층석탑, 15기의 부도 등이 있다. 이 중 괘불은 주변의 마을 주민들이 가뭄이나 질병, 적군의 침입 등으로 어려움을 당할 때마다 봉안하고 소원을 빌었다 한다. 특히, 가뭄이 심할 때에는 괘불에 소원을 빌고 대견사터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내렸다고 한다.

 

부속암자로는 비구니들의 수도처인 수도암(修道庵)과 경상북도의 3대 수도처 중의 하나인 도성암(道成庵)이 있다.

 

 

소재사와 유가사 불교 문화유산

<비슬산 소재사 대웅전(좌)과 유가사 초조본 유가사지론(우),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대웅전(대구광역시 문화재사료)

소재사는 비슬산 남서 중턱 해발 450미터에 자리하고 있다. 최초 창건 시기는 신라 시대로 전해지고 있다. 2000년 대웅전 보수시 확인된 상량문의 내용에는 1673년에 명부전과 함께 지었으며, 1857년(철종 8년)에 법로(法盧) 화상이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한때 상주했던 대중이 산내 암자와 더불어 3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큰 사찰이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사역이 대단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웅전은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이다. 외벌대의 낮은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건물의 전면벽체는 3칸 모두 문으로 구성하였는데 어칸에는 4짝 여닫이, 퇴칸에는 2짝여닫이문을 두었다. 배면에도 양쪽 퇴칸에 한짝의 여닫이문을 두었는데 정면, 배면 모두 문짝이 최근에 교체되었으며, 문틀 일부도 교체된 것이다. 다만 배면 어칸에 두짝문이 있었던 연귀맞춤 흔적이 남아있는데, 이러한 배면3칸 모두에 창호를 둔 것은 17세기 중반에서 18세기 초까지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초조본 유가사지론(국보)

『유가사지론』은 인도의 미륵보살이 지은 글을 당나라의 현장(602~664)이 번역하여 천자문의 순서대로 100권을 수록한 것으로, 11세기에 간행한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이다. 이 가운데 권17은 습(習)자의 함에 들어있는 것으로, 종이질은 닥나무종이이며, 가로 45㎝, 세로 28.5㎝이다.

처음 새긴 본으로 『현양성교론』 권11(국보)과 같이 11세기에 새겨 인출한 것으로 보인다. 후에 다시 새긴 본과는 판식과 간행기록이 서로 다르며, 처음에 새긴 이 본은 경(敬)자, 경(竟)자가 각각 횟수가 빠져있으나, 다시 새긴 본은 모두 완전하게 고쳐 새겨지고 있다.

판각기술은 처음 새긴 이 본이 다시 새긴 본보다 나은 편이며, 지금까지 전해지는 초조대장경 가운데 보존상태가 좋은 것에 속한다.

 

'문화재 관람료' 무료 전국 65개 사찰 명단과 불교 문화유산

 

반응형

댓글